맨위로가기

하노버 S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노버 S반은 하노버 광역권에서 운행되는 통근 열차 시스템이다. 1960년대 철도망 개선 계획에 따라 지역 통근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으며, 1990년 엑스포 2000 유치를 계기로 S반 도입이 앞당겨졌다. 12개의 노선을 통해 하노버를 포함한 주변 도시들을 연결하며, 하노버 광역권 교통 운임을 적용한다. 424형, 425형 전동차 및 FLIRT 3세대 전동차가 운행에 투입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더작센주의 철도 - 함부르크 S반
    함부르크 S반은 함부르크와 주변 지역을 운행하는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1906년 개통 후 1934년부터 현재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도이치반 AG의 자회사에서 운영하며 약 147km의 노선망과 68개의 역을 갖추고 있다.
  • 니더작센주의 철도 - 레기오 S반 브레멘/니더작센
    레기오 S반 브레멘/니더작센은 브레멘과 주변 지역을 운행하는 6개의 노선으로 구성된 광역 철도 시스템이다.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철도 - 뒤셀도르프 슈타트반
    뒤셀도르프 슈타트반은 전후 복구 과정에서 노면 전차를 고규격화하여 탄생, 지하 구간 건설 및 노선망 확충을 통해 뒤셀도르프와 주변 도시를 연결하는 도시 철도 시스템이다.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철도 - 라인루르 S반
    라인루르 S반은 독일 루르 지역에서 1967년 S6 노선 개통을 시작으로 발전하여 현재 16개 노선으로 운영되며, DB 레기오 등 여러 운영사가 담당한다.
  • 200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200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광주선
    광주선은 호남선 열차가 경전선을 경유하여 광주역까지 운행하는 11.9km의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 전남선의 일부로 개통되어 노선 변경과 이설을 거쳤으며, 현재는 ITX-새마을과 무궁화호가 운행되고 있다.
하노버 S반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개요
하노버 S반 로고
로고
원어명S-Bahn Hannover
종류통근 열차
관할 지역하노버, 니더작센 주
운영2000년
운영자트란스데브 하노버
노선 수10
역 수74
총 길이385 km
연간 수송량3천만 명
웹사이트하노버 S반
민덴 역의 슈타들러 플리트
민덴의 슈타들러 플리트
기술 정보
궤간(표준궤)
전철화 방식가공 전차선, 15 kV AC
차량
차량 수68
차종40 × 424
28 × 425
기타
노선도
노선도

2. 역사

엑스포 2000 개최 직전인 2000년 5월 28일, S반 노선이 개통되었다. 개통 당시 노선은 다음과 같다.


  • S1: 민덴 - 뷔케부르크 - 하스테 - 분스토르프 - 하노버 - 전시장/라체
  • S2: 닌부르크 - 노이슈타트 암 뤼벤베르게 - 분스토르프 - 하노버 - 전시장/라체
  • S4: 베네뮐렌 - 랑겐하겐 중 - 하노버 - 전시장/라체
  • S5: 하노버 공항 - 랑겐하겐 중 - 하노버 - 전시장/라체


엑스포 2000이 종료된 후 2000년 11월 5일, 각 노선은 정상 운행을 시작했다. S1, S2 노선은 현재와 같이 변경되었고, S4, S5 노선은 슈프링에, 하멜른 방면으로 연장되었다. S3 열차는 레어테 - 첼레 구간을 운행했으며, S6 계통은 대규모 전시회 시 운행하는 임시 노선이었다. S4, S5 열차는 하노버 중앙역에서 병결·분할되었다.

  • S3: 첼레 - 부르크도르프 - 레어테 - 하노버
  • S4: 베네뮐렌 - 랑겐하겐 중 - 하노버 - 베첸 - 슈프링에 - 하멜른
  • S5: 하노버 공항 - 랑겐하겐 중 - 하노버 - 베첸 - 슈프링에 - 하멜른
  • S6 (비정기): 하노버 공항 - 랑겐하겐 중 - 하노버 - 전시장/라체


2002년 12월, S4 계통이 단축되어 S5 계통과의 2층 운행이 중단되었다. S5 계통은 바트 퓔몬트까지 연장되었고, 이후 열차는 공항-중앙역 구간 모든 역에 정차한다.

  • S4: 베네뮐렌 - 랑겐하겐 중 - 하노버
  • S5: 하노버 공항 - 랑겐하겐 중 - 하노버 - 린덴 - 베첸 - 슈프링에 - 하멜른 - 에멜른탈 - 바트 퓔몬트


2004년 12월부터 S5 계통 열차는 파더보른역까지 운행한다. 2008년 12월 14일에는 기존 쾌속 열차 노선을 대체하는 세 개 계통이 도입되었고, 하노버 메세/라첸역이 정규 노선 정차역이 되었다.

2013년 12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출퇴근 시간에 S1, S2, S5 노선을 보조하는 두 개의 단거리 노선이 도입되었다. S21 열차는 하노버 - 발싱하우젠 구간, S51 열차는 하노버 - 하멜른 구간을 운행했다. 2014년 3월 31일부터 S51은 하노버 - 제르체 구간에서도 S1, S2 노선을 보조했다.

  • S51: 하멜른 - 슈프링에 - 린덴 - 하노버


2018년, 북서 철도(NordWestBahn, NWB)가 2021년 이후 S반 운영권을 획득했다. DB 레기오는 이 결정에 불복해 항고 절차를 진행했으나, 첼레 고등 주 법원에서 기각되었다. 2019년 트란스데브 하노버 유한 회사가 설립되어 2022년 6월부터 S반 운영을 담당하게 되었다. 2021년 DB 레기오와 트란스데브는 운영권 이관 계약을 체결, 같은 해 12월 S3, S6, S7 계통은 트란스데브에 의해 시험 운영되었다. 2022년 6월 11일, DB 레기오는 S반 운영을 종료했다.[1]

2. 1. S반 도입 이전 (1960년대 ~ 1990년)

1960년대에 이미 하노버 근교 열차 노선 구축이 계획되어, 민덴-첼레 구간 등의 동서 축 노선과 다이스타선에 도시 고속 철도(Nahschnellverkehrslinien)가 창설되었다. 노선 확장은 연방 정부, 주 정부, 하노버 도시권 행정 기관의 의견 불일치로 인해 중단되었다. 1984년에는 젤체역이 분스토르프-하노버 구간 개수의 예비 작업으로 이전되었고, 그 역에 측선이 설치되었다. 1989년 5월부터 시티반 열차가 다이스타선과 하노버-하멜른 구간에 1시간 간격으로 운행되었다.

1990년 하노버가 엑스포 2000의 개최지로 결정된 후, 계획된 S반 도입 시기가 앞당겨졌다. 같은 해 11월 12일에는 니더작센 주, 하노버 도시권 연합, 독일 연방 철도는 S반 격상 계약에 서명했다. 수십 년 동안 거의 변하지 않던 노선이 짧은 시간 안에 하노버를 중심으로 개량되었다. 1993년 개수 공사는 하노버 카를 비히아르트 가로수길 역의 첫 번째 말뚝 박기부터 시작되었다. 하노버 중앙역에서 젤체역까지 S반 완행선의 공사가 1994년에 시작되어, 완행선은 1997년에 개통되었다. 젤체-라인하우젠 구간의 선로는 기존 선로의 북쪽에, 라인하우젠-중앙역 구간의 선로는 남쪽에 각각 건설되었다. 라인하우젠 구간에는 입체 교차 선로가 건설되어, 북쪽 방면 및 서쪽 방면에 완행선과 급행선이 분리되었다. 하노버 노르트슈타트역은 기존의 하인부르크역을 대체하게 되었다.

하노버-노르트슈타트역


하노버-린덴/피셔호프역 (S-반 위, 시립 철도 아래)


노르트슈타트-랑겐하겐 구간에도 복선의 완행선이 건설되었다. 헤렌하우젠역이 폐지되고, 그 대신 레데부르크역이 신설되었다. 랑겐하겐-베네뮐렌 구간에 전력 공급 설비가 설치되었고, 하노버-랑겐하겐 공항 터널 공사가 진행되었다. 하노버-브라운슈바이크 철도의 중앙역-카를 비히아르트 가로수길 역 구간에는 하나의 완행선이 증설되었으며, 공사는 1999년에 완료되었다. 아르텐역까지는 복선 선로가, 레르테까지는 단선 선로가 추가되었고, 공사는 2000년에 완료되었다. 하노버-브라운슈바이크 철도의 선로 확장 공사는 "독일 재통일 교통 프로젝트"에 속했다. 비스마르크마을역-뷔르펠 구역 구간에서는 1996년에 복선 선로 증설 공사가 시작되었고, 완행선은 하노버 메세/라첸역까지 완비되었다. 그 외에는 베체-에게스토르프 구간이 복선화되어, 상하 열차의 교환이 지연 없이 가능하게 되었다.

2. 2. S반 도입과 확장 (1990년 ~ 현재)

1960년대 하노버 주변 철도망 개선 계획에 따라 1965년부터 1970년 사이 니엔부르크/민덴, 분스토르프, 하노버 중앙역, 레르테, 첼레 간 동서축과 데이스터 철도에 지역 통근 열차가 운행되었다. 그러나 연방, 주, 시 정부 간 의견 차이로 추가 확장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84년 분스토르프와 하노버 간 노선 개량 준비로 젤체역이 이전, 개축되고 추월선이 설치되었다.

1990년 하노버가 엑스포 2000을 유치하면서 S반 도입이 앞당겨졌다. 1990년 11월 12일, 니더작센주, 대(大)하노버 지방 협회, 독일 연방 철도 간 개발 협약이 체결되었다. 이후 수십 년간 거의 변동이 없던 하노버 안팎 노선들이 단기간에 크게 개선되었다.

하노버-브라운슈바이크 철도에 하노버 시립 철도와 연결되는 하노버-카를-비히헤르트-알레역 건설이 시작되었고, 1993년에 첫 말뚝이 박혔다.

1994년부터 1997년까지 하우프트반호프에서 분스토르프 방향으로 젤체까지 서쪽 노선에 S반 선로 2개가 추가 건설되었다. 라인하우젠에는 북쪽과 서쪽에서 오는 지역 및 장거리 교통을 분리하는 입체 교차로가 건설되었다. S반은 하인홀츠의 오래된 화물 선로와 이전의 주요 화물 야드를 통과하며, 하노버-노르트슈타트 S-반역이 기존 하노버-하인홀츠 교외역을 대체했다.

랑겐하겐 방면 북쪽 노선에는 S반용 선로 2개가 추가되었다. 하노버-헤렌하우젠역은 하노버-레데부르크의 새로운 S-반역으로 대체되었다. 이 노선은 베넴휠렌까지 전철화되었고, 비센도르프까지 복선으로 건설되었다. 하노버-랑겐하겐 공항은 이전 화물 선로를 통해 지역 서비스로 연결되었고, 1995년부터 전철화되어 건설 중이던 공항 터미널 C까지 터널을 통해 연장되었다.

동쪽으로는 기존 카를-비히헤르트-알레역까지 단선으로 연장되어 1999년에 운행이 시작되었다. 이후 알텐까지 S반 선로 2개가 거의 추가되었고, 레르테까지는 단선으로 이어져 2000년 6월에 운행을 시작했다. 이 연장은 독일 통일 교통 프로젝트(''Verkehrsprojekte Deutsche Einheit'')의 일부였다.

남쪽으로는 1996년부터 하노버-비스마르크슈트라세와 하노버-뵐펠역 북쪽 끝 사이에 추가 선로가 건설되어 완전히 재정비된 하노버 메세/라첸역을 운행했다.

데이스터 철도에서는 열차 운행 충돌로 인한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 베첸 건널목 서쪽의 렘미와 에게스토르프 사이에 복선 구간이 건설되었다.

필요한 경우, 장애인 접근성을 완벽하게 보장하기 위해 역을 재건축했다. 대부분의 건설 프로젝트는 엑스포 2000에 맞춰 완료되었으며, 이후 하노버는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갖추게 되었다. 시간 및 비용상의 이유로 일부 역 개조는 엑스포 전에 시작되지 않았고, 이러한 수정은 아직 부분적으로 완료되지 않았다.

엑스포가 끝난 후, 노선 네트워크에서 정상적인 운행이 시작되도록 변경이 이루어졌다. 네트워크는 데이스터 철도를 통해 바르징hausen, 바트 넨도르프, 하스테까지, 그리고 슈프링에를 통해 하멜른까지 확장되었다. 이후 바트 피르몬트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파더보른까지 확장되었다. 예외적으로 하노버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바트 피르몬트에서 파더보른까지의 구간은 운행 빈도가 낮으며, 레기오날반 서비스와 유사하다. 그 외 도시 근처의 모든 노선은 완전한 S-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2008년 12월 14일, S-반은 힐데스하임과 첼레로 가는 이전의 세 개의 레기오날반 및 레기오날 익스프레스 서비스를 대체하도록 확장되었다. 그 결과, 하노버 메세/라첸역이 정기 S-반 네트워크에 포함되었다.

2018년 11월, 프랑스 운영업체 트랜스데브가 2021년 12월부터 2034년 6월까지 S-반을 운영하는 계약을 약 15억유로에 체결했다.[1]

3. 노선

(분)철도 노선비고style="font-size:111%;" |민덴 - 뷕케부르크 - 키르히호르스텐 - 슈타트하겐 - 린트호르스트 - 하스테 (하) - 분스토르프 - 데덴젠-귐머 - 젤체 - 레터 - 하노버-라인하우젠 - 하노버-노르트슈타트 - 하노버 중앙역 - 하노버 비스마르크슈트라세 - 하노버-린덴/피셔호프 - 하노버-보르눔 - 엠펠데 - 로넨베르크 - 베첸 - 렘미 - 벤니겐센 - 에게스토르프 - 키르히도르프 - 바르징하우젠 - 비닝하우젠 - 반토르프 - 바트 넨도르프 - 하스테 (하)60하노버-민덴
하노버-알텐베켄
자이스터 철도하노버 중앙역에서 열차 번호 변경
분스토르프와 하스테 사이 S2와 연계하여 30분 간격 운행style="font-size:111%;" |니엔부르크 - 린스부르크 - 하겐 (하) - 아일베제 - 노이슈타트 암 뤼벤베르게 - 포겐하겐 - 분스토르프 - 데덴젠-귐머 - 젤체 - 레터 - 하노버-라인하우젠 - 하노버-노르트슈타트 - 하노버 중앙역 - 하노버 비스마르크슈트라세 - 하노버-린덴/피셔호프 - 하노버-보르눔 - 엠펠데 - 로넨베르크 - 베첸 - 렘미 - 벤니겐센 - 에게스토르프 - 키르히도르프 - 바르징하우젠 - 비닝하우젠 - 반토르프 - 바트 넨도르프 - 하스테 (하)60브레멘-하노버
하노버-알텐베켄
자이스터 철도분스토르프와 하스테 사이 S1과 연계하여 30분 간격 운행
일요일에는 니엔부르크-하노버만 운행style="font-size:111%;" |하노버 중앙역 - 하노버-클레펠트 - 하노버 카를-비히어트-알레 - 하노버-안데르텐-미스부르크 - 알텐 - 레르테 - 젠데 - 알게르미센 - 하르줌 - 힐데스하임 중앙역60레르테-노르트스템멘
하노버-브라운슈바이크레르테와 하노버 사이 S7과 연계하여 30분 간격 운행style="font-size:111%;" |벤네뮐렌 - 멜렌도르프 - 비스센도르프 - 랑겐하겐-칼텐바이데 - 랑겐하겐 페어데마르크트 - 랑겐하겐 미테 - 하노버-빈호르스트 - 하노버-레데부르크 - 하노버-노르트슈타트 - 하노버 중앙역 - 하노버 비스마르크슈트라세 - 하노버 메세/라츠엔 - 레텐 - 자르슈테트 - 바르텐 - 엠메르케 - 힐데스하임 중앙역30
(60)레르테-노르트스템멘
하노버 남부 철도
헤스 철도1시간에 1번 벤네뮐렌-힐데스하임, 1시간에 1번 벤네뮐렌-하노버style="font-size:111%;" |하노버 공항 - 랑겐하겐 페어데마르크트 - 랑겐하겐 미테 - 하노버-빈호르스트 - 하노버-레데부르크 - 하노버-노르트슈타트 - 하노버 중앙역 - 하노버 비스마르크슈트라세 - 하노버-린덴/피셔호프 - 베첸 - 홀텐센/린데르테 - 베니히센 - 푈크센/엘다그센 - 슈프링에 - 바트 뮌더 - 하멜른 - 엠메르탈 - 바트 피르몬트 - 뤼그데 - 지더 - 슈타인하임 - 알텐베켄 - 파더보른 중앙역30
(60)함-바르부르크
하노버-알텐베켄
하노버-함부르크
랑겐하겐 페어데마르크트-하노버 공항1시간에 1번 하노버 공항-파더보른, 1시간에 1번 하노버 공항-하멜른style="font-size:111%;" |하노버 중앙역 - 하노버 비스마르크슈트라세 - 하노버-린덴/피셔호프 - 슈프링에 - 하멜른60하노버-알텐베켄
하노버-민덴[2]출퇴근 시간대 급행 노선, 몇몇 역에만 정차
월-금요일, 하루 7편의 열차 운행[3]style="font-size:111%;" |하노버 중앙역 - 하노버 카를-비히어트-알레 - 알리제 - 부르크도르프 - 오체 - 엘러스하우젠 - 첼레60레르테-첼레
하노버-브라운슈바이크하노버-클레펠트, 하노버-안데르텐/미스부르크, 알텐에 정차하지 않음style="font-size:111%;" |하노버 중앙역 - 하노버-클레펠트 - 하노버 카를-비히어트-알레 - 하노버-안데르텐-미스부르크 - 알텐 - 레르테 - 알리제 - 부르크도르프 - 오체 - 엘러스하우젠 - 첼레60레르테-첼레
하노버-브라운슈바이크레르테와 하노버 사이 S3와 연계하여 30분 간격 운행
첼레와 알리제 사이 S6과 연계하여 30분 간격 운행style="font-size:111%;" |하노버 공항 - 랑겐하겐 미테 - 하노버-노르트슈타트 - 하노버 중앙역 - 하노버 비스마르크슈트라세 - 하노버 메세/라츠엔하노버-함부르크
하노버 남부 철도박람회 수송을 위해 필요에 따라 운행


4. 운임

하노버 지역에서는 하노버 광역권 교통 (GVH) 운임을 적용받는다. 하노버에 인접한 지자체는 GVH 운임의 지역간 운임에 지속적으로 편입되었다. S반 운행 지역에서는 샤움부르크군, 첼레군, 하멜른피르몬트군이 편입되어 있으며 2008년 12월 14일부터는 닌부르크군, 힐데스하임군도 편입되었다. 해당 지역에서는 GVH 정기권으로 S반 이용이 가능하다.

2013년 6월 9일부터 GVH 지역 외부로 이동할 때에는 니더작센 운임(Niedersachsentarif)이 도입되었다. S5 노선의 뤼드게-파더보른 구간은 지역 교통조합 운임인 베스트팔렌 운임(Westfalentarif)이 적용된다. 2016년 8월부터 하노버 중앙역과 파더보른 중앙역 간 S5 노선 이용 시 편도 16EUR에 이용 가능하며(S5-Paderborn-Spezial), 인터넷이나 자동 발매기에서만 발매된다. 매표소에서 구매 시 2EUR의 추가금이 붙는다.

5. 차량

424형 전동차가 니엔부르크역에 정차해 있다.


425형 전동차가 힐데스하임 중앙역에서 S-반 개통일에 운행하고 있다.


하노버 S-반을 위해 특별히 40대의 424형 전동차가 도입되었다. 이 차량들은 423형 차량과 달리 바닥 높이가 80cm로 낮고, 출입문이 적으며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 1998년부터 차량 인도가 시작되었지만, 424형 열차는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엑스포 2000 시작과 함께 S-반 노선이 개통될 당시에는 준비되지 못했다. 따라서 도이치반은 임시로 뮌헨 S-반에서 423형 차량을 빌려와야 했다.

또한, 낮은 플랫폼 접근성을 위해 조정 가능한 계단을 장착한 6대의 425형 (425 150–425 155)이 있다. 이 차량들은 높은 플랫폼의 배리어 프리 접근성을 희생하지 않으면서 낮은 플랫폼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S5 노선 파더보른행에서는 이 차량들이 424형 차량과 연결되어 하멜른에서 분리되어 파더보른까지 운행된다. 이 구간에는 낮은 플랫폼이 있다.

2008년에는 424형 차량의 새로운 배치를 생산하지 않기로 결정함에 따라 힐데스하임과 체레로 가는 신규 및 개선 노선을 위해 425.2형 차량 13대 (425 271–425 283)가 조달되었다.

2000년 개통 당시 424형이 도입되었다. 425형은 2002년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2008년에는 교통량 증가로 인해 13편성이 추가 주문되었다. 다른 노선에서 운행되던 425형도 S반 차량으로 편입되었다. 2021년 S-반 운영권을 인수하면서 Transdev는 주로 신규 제작된 슈타들러 레일의 FLIRT 차량과 425형 전동차 13대를 포함하여 총 64대의 슈타들러 레일 전동차를 네트워크에서 운행할 계획이다.[1][4] 트란스데브 하노버는 기존의 13편성의 425형 전동차 및 새로운 64편성의 FLIRT 3세대 전동차를 S반 노선에 투입할 예정이다[10]。이 중, FLIRT 전동차는 2021년 12월부터 S3, S6, S7 계통에 우선적으로 투입되고 있다[11]

참조

[1] 웹사이트 Transdev announces EMU order as Hannover S-Bahn operating contract confirmed https://web.archive.[...]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8-11-08
[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7-06-23
[3] 문서 http://www.s-bahn-ha[...]
[4] 웹사이트 Lines, Vihicles, authorities https://web.archive.[...] Transdev Hannover GmbH 2021-05-16
[5] 웹사이트 Gute Zusammenarbeit von Stadt Seelze und Bahn: Express-Linie S 51 fährt seit 31. März bis Seelze https://www.deutsche[...] Deutsche Bahn 2014-05-30
[6] 뉴스 Kampf um S-Bahn Hannover: Deutsche Bahn gibt nicht auf https://www.neuepres[...] 2018-10-01
[7] 웹사이트 Liniennetz, Fahrzeuge, Aufgabenträger https://www.sbahn-ha[...] S-Bahn Hannover 2021-01-08
[8] 웹사이트 Dienstleistungen - 383899-2021 https://ted.europa.e[...] 欧州連合 2021-07-28
[9] 웹사이트 Wir sagen Tschüss! Danke für 20 Jahre S-Bahn Hannover! https://regional.bah[...] DB Regio AG 2022-06-20
[10] 웹사이트 Stadler gewinnt Auftrag für 64 FLIRT für die neue S-Bahn Hannover https://www.stadlerr[...] シュタッドラー・レール 2021-05-16
[11] 웹사이트 Der Startschuss ist gefallen https://www.sbahn-ha[...] S-Bahn Hannover 2021-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